
목적 JPA 개념정리 및 사용법 정리하게된 계기 기존에는 Mybatis 를 사용하였는데 새프로젝트에서 JPA 를 사용하게되어 정리 JPA (Java Persistence API) 자바 ORM 을 위한 표준기술로 Hibernate, Spring JPA 와 같은 구현체가 있고 이것의 표준인터페이스 장점으로는 Mybatis 프로젝트와 비교하면 코드량이 줄고 객체위주 코드가 작성됨으로 가독성이 좋아지고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는다. 단점으로는 복잡한 쿼리처리,성능저하위험,학습시간등 이있는데 복잡한 쿼리는 QueryDSL로 처리가 가능한거 같다. 개발환경 OS 윈도우10 Jdk 1.8 Framework Spring Boot 2.7.0 DB mysql 8.0 패키지 구조 의존성추가 1 2 3 4 5 6 7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ursorAI
- cursor ai 프롬프트
- SpringBatch 5.1.1
- spring boot jpa
- spring security
- kafka oubox
- Enum Equals ==
- tomcat gzip
- cursor ai crud
- JdbcBatchItem
- quartz spring batch
- cursor ai
- custom Item writer
- cursor ai 프로젝트
- no `meta.properties` found in
- 배치 관리 ui
- oubox pattern
- kafka redis
- spring boot jpa crud
- 배치 모니터링
- 스케줄링 시스템
- Spring Actuator
- Enum ==
- Enum equals
- actuator prometheus grafana
- quartz 실무 적용
- kafka srping event
- Spring boot Actuator
- CompositeItemWriter
- 잡 스케줄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